L
o
a
d
i
n
g
.
.
.
  • 진료 분야

  • HOME > 환자를 위한 정보 > 진료 분야
구강안면운동장애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입얼굴 부위는 근육의 움직임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씹기, 발음, 삼킴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합니다. 구강안면 운동장애(입얼굴 운동장애)는 입얼굴 부위의 운동을 조절하는 데에 문제가 생겨 원치 않는 움직임이 일어나거나 원하는 움직임을 만들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하여 기능적 장애와 심미적 장애가 발생하고 일상생활에 심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구강안면 운동장애는 입얼굴의 근육들이 과다하게 활성화되거나 또는 활성이 떨어져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근육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과활성화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구강안면 운동장애로는 수면 중에 발생하는 수면이갈이,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 구강안면 운동이상증, 약물유발 추체외로 증후군이 있습니다.

구강안면 운동장애의 종류와 특징
1.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

구강하악 근긴장이상증(입아래턱 근육긴장이상증)은 구강안면 부위에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근긴장이상증입니다. 반복적으로 여러 근육들이 비동시적으로 경련을 일으키는데, 입을 벌리는 근육, 혀의 근육, 얼굴 표정 근육 등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차성은 특별한 원인 없이 성인 시기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다른 부가적인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근긴장이상증은 일차성으로 나타나며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나, 뇌 전두부의 기저핵 부위에서 억제성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차성은 외상이나 뇌의 병소, 전신적 질환(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 혈관질환(기저핵 경색) 또는 약물 사용에 따라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차성의 가장 흔한 형태는 약물 유발성 근긴장이상증인데, 이것은 장기간의 항정신병약물의 사용에 의한 부작용으로서 발생합니다. 머리, 목, 얼굴 부위에 증상이 흔하게 나타나며 운동이상증이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
근긴장이상증은 모두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나타나며 운동이상증에 비해 덜 지속적인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특징적으로 짧지만 지속적인 근육수축이 나타나서 입얼굴 부위의 비틀림이나 반복적인 운동, 또는 자세이상을 야기합니다. 이환된 근육의 경련에 따라 얼굴 찡그림, 입술 내밀기, 입술 빨기, 불수의적인 씹기, 이갈이, 혀의 운동 이상, 넓은목근육의 수축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저작 장애, 발음 장애, 연하 장애, 호흡 곤란, 구음(입소리)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아래턱의 움직임이 너무 강한 경우 치아의 마모나 상실을 초래하거나, 턱관절과 턱근육 부위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종종 스트레스나 대화, 씹기, 피로 등에 의해 자극을 받아 증상이 시작되기도 하며, 잠들기, 이완, 말하기, 노래하기, 입술 깨물기, 혀 내밀기, 침삼키기, 껌 씹기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완화됩니다. 이렇듯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감각계교)을 환자 스스로 터득하여 특이한 행동들을 하는데, 보통 사람들로부터 꾀병이나 히스테리라고 오인을 받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근긴장이상증은 깨어 있을 때만 나타나고 수면 중에는 완전히 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구강안면 운동이상증
구강안면 운동이상증

구강안면 운동이상증(입얼굴 이상운동증)은 낮 시간 동안 주로 입술과 혀, 혹은 아래턱이 저절로 움직여져서 같은 유형의 운동을 반복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갑작스럽게 우발성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약물에 의해서 유발되기도 합니다.
우발성 운동이상증은 주로 노인들에게 나타나며 중추신경계 이상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는데, 만성 정신분열증, 알츠하이머병, 치매, 자폐증, 정신박약 등이 관련된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발성 운동이상증은 약물유발성에 비해 강도가 다소 약하고, 입 영역에 거의 한정되어 발생하여 혀, 입술, 턱의 불수의적인 운동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강안면 운동이상증(입얼굴 이상운동증)은 낮 시간 동안 주로 입술과 혀, 혹은 아래턱이 저절로 움직여져서 같은 유형의 운동을 반복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갑작스럽게 우발성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약물에 의해서 유발되기도 합니다.

우발성 운동이상증은 주로 노인들에게 나타나며 중추신경계 이상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는데, 만성 정신분열증, 알츠하이머병, 치매, 자폐증, 정신박약 등이 관련된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발성 운동이상증은 약물유발성에 비해 강도가 다소 약하고, 입 영역에 거의 한정되어 발생하여 혀, 입술, 턱의 불수의적인 운동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v임상증상으로는 볼, 혀, 아래턱 근육 부위에 이환되어 혀와 아래턱 부위를 포함한 얼굴 부위에 일정한 형태로 반복적인 불수의적인 운동이 나타납니다. 입얼굴 부위뿐만 아니라 대체로 팔다리의 근육이 같이 이환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물유발성 운동이상증을 가장 흔하게 일으키는 약은 신경이완제(특히 도파민-2수용체 차단제)이며, 장기간 투여 받고 있는 적지 않은 환자에서 약물유발성 운동이상증이 발생합니다. 약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 가운데서 노인층에서는 젊은 층에 비해 발병율이 훨씬 높고 증상이 발생되기까지의 약 복용기간도 노인층이 더 짧은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3. 약물유발 추체외로 증후군

신경계에 작용하는 일부 처방약들(신경이완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과 불법 약물(마약, 각성제)들은 약물 유발성 운동 과활성화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약물유발성 운동장애와 달리 원인 약물을 복용한 후 빠르면 몇 시간 이내에, 보통은 며칠이나 몇 주 내에 증상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물에 의해 유발된 추체외로 반응은 골격근의 불수의적, 긴장성 수축으로 인한 치아 악물기나 이갈이 증상, 걷고 싶거나 다리를 꼬거나 하고 싶은 충동으로 인해 가만히 앉아 있거나 가만히 서있기가 어려운 상태(좌불안석증), 그리고 떨림, 강직, 무운동증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며 움직임을 시작할 때 매우 느리거나, 반복적인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일을 할 때 피로를 느끼는 파킨슨 증상과 같은 전형적인 3가지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수면이갈이

수면 중에 발생하는 이갈이 질환은 별도로 '이갈이' 진료분야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관련 페이지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구강안면 운동장애의 진단과 치료

불수의적인 구강 운동이상이 발생한 환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검사와 치료를 진행합니다.

1. 병력 조사, 임상검사 및 영상검사

신경계의 질환이나 약물 부작용, 국소적인 원인의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특히 뇌의 구조적 손상이나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서, 더 나아가 확실한 진단을 하기 위해 자세한 병력 조사와 여러 가지 검사가 필요합니다. 수면 이갈이를 제외한 다른 모든 운동장애는 신경과로 의뢰되어 진단검사를 거치는 것이 권장됩니다.

건강한 사람에서 안정시 턱근육의 표면 근전도 예와 근긴장이상증 환자에서 안정시 턱근육의 표면 근전도 예
2. 원인 약물 중단 및 기저질환 치료

원인으로 의심되는 약을 중단하거나, 원인이 될 만한 기저질환이나 의심되는 약을 사용한 적이 없거나, 약을 중단함에도 증상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운동을 억제하는 약물을 투여해봅니다.

3. 보툴리눔 독소 제제 주사

구강안면 운동장애가 일부 근육에서 나타나면서 그 정도가 심하고 앞서의 치료 약들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툴리눔 독소 제제를 주사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근긴장이상증이 일부 근육에서만 부분적으로 나타날 경우 주로 사용되는 치료법입니다. 예를 들면, 입을 벌리는 근육에 근긴장이상증이 발생한 경우 입을 벌리다가 아래턱이 빠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근긴장이상증이 멈춘 후에도 입이 잘 다물어지지 않아 환자들이 매우 힘들어하는데, 이때 보툴리눔 독소를 입을 벌리는 근육에 주사하는 것이 아래턱 탈구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구강내 장치 치료

입을 다무는 근육에 근긴장이상증이 발생한 경우에 감각계교에 의해 그 증상이 완화된다면 교합을 높이는 구강내 장치가 증상 조절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치아의 마모나 턱관절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단체명: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  대표자: 정진우
주소: (03080)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
대표전화: (02) 2072-3811  |  팩스: (02) 740-9135   
|  E-mail: ankara01@snu.ac.kr  
Copyright © 2015 by KA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