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o
a
d
i
n
g
.
.
.
  • 진료 분야

  • HOME > 환자를 위한 정보 > 진료 분야
치과에서의 금연진료

(법적 한계에 대한 고지)
본 정보는 건강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자료일 뿐이며 개별 환자의 증상과 질병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최근 흡연은 명확한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즉, 알코올이나 마약 등과 같이 일종의 약물 중독현상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세계질병분류에서도 니코틴 중독을 '담배로 인한 정신적, 행동적 장애'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인 금연진료법이 확립되어감에 따라 본인의 의지와 더불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좀 더 쉽게 금연을 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2015년 담뱃값 인상과 더불어 금연진료가 국민건강보험의 적용을 받게 되었습니다. 일반 병·의원, 한의원뿐만 아니라 치과에서도 금연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흡연과 전신건강 그리고 흡연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이해한 다음, 금연진료의 내용은 무엇이고 금연진료에서 치과의사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흡연과 정신건강

담배의 성분으로 존재하는 4,700가지 이상의 유독한 물질 중에서 인체에 해로운 대표적인 성분은 니코틴과 일산화탄소입니다. 니코틴은 혈관 수축을 일으키고 일산화탄소는 카르복시헤모글로빈의 생성에 의하여 조직의 산소 공급 부족을 야기함으로써 상처의 치유를 지연시키거나 방해합니다. 특히, 일산화탄소는 인체의 약물대사 효소인 Cytochrome P-450을 유도하고 항진하여 약물들의 약리작용에 변화를 가져오며 약물 상호작용을 유발합니다.
장기간의 흡연은 폐쇄성 호흡기질환과 심근경색, 뇌경색 등 순환기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큰 위험 인자로서, 음주와 함께 할 때 상관관계는 더욱 높아집니다. 하루 한 갑 이상을 피는 흡연자의 사망률은 남녀 모두에서 2배 이상 높고,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폐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남자는 22배, 여자는 12배 높으며, 췌장암에 걸릴 확률은 5배, 방광암에 걸려 사망할 확률은 4배 이상 더 높습니다. 총체적으로 흡연 관련 연간 사망자수는 4만 명 이상으로서 한해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사람들보다 4배나 더 높습니다.

흡연과 구강건강

흡연은 입안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구강 건조를 초래해 치태와 치석의 형성을 촉진합니다. 전신적으로 백혈구의 수와 기능의 감소와 함께 니코틴의 말초혈관 수축에 따른 혈류량의 감소와 일산화탄소에 의한 산소공급의 부족을 초래하므로, 치은연하 치태의 질과 숙주반응의 변화 및 치주조직의 치유능력 저하를 통해 치주질환을 초래하거나 식립된 임플란트의 골유착을 방해합니다. 이는 흡연자에서 치주질환이 더 잘 생기고 스케일링과 치은연하소파술 같은 비수술적 치료에 치료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흡연은 치아의 표면에 니코틴과 타르를 침착시켜서 흑갈색의 치아 및 치은의 착색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에는 법랑질과 상아질에도 침투하여 치아를 변색시키기도 합니다. 더불어 흡연자의 혀에는 색소가 잘 침착되고 혀의 유두가 길어지면서 음식물에 쌓이게 됩니다. 이러한 찌꺼기에 입안의 세균이 작용하여 구취가 발생하게 되고 타인에게 심한 혐오감을 주기도 합니다.
아울러 흡연은 구강암, 설(혀)암, 인후암 등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구강암의 발생률이 4배, 매일 한 갑 이상을 피는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12배 이상, 과음을 동반할 때에는 최고 18배까지 증가합니다. 구강암에 의한 사망률은 유방암과 전립선암을 합한 사망률보다 더 높고, 구강암 치료가 잘 되어 생존한다 하더라도 심한 얼굴 추형을 남기게 되어서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어렵게 합니다.

치과에서의 금연진료

치과에서 받는 금연진료가 어떠한 장점을 갖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구강은 위장관의 첫 관문이자 흡연이 시작되는 첫 부위입니다. 치과의사는 환자의 얼굴과 대단히 가까운 위치에서 구강의 상태나 구취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흡연 유무나 흡연 정도를 상세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단을 바탕으로 치과의사는 흡연으로 인한 구강 내 증상들을 치료하면서 흡연에 따른 전신적인 부작용과 전신질환들을 예방하기 위한 금연 교육, 금연 상담 및 금연 관련 처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둘째, 구강건강은 전신건강의 척도입니다. 흡연에 의한 전신질환이 발생하기 전이라도 치과의사는 구강 내 변화를 신속히 진단하여 적절한 금연진료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기적인 구강 검진을 위해 내원하는 청소년과 노인에 대한 금연진료는 필수적입니다. 청소년과 노인은 흡연에 취약하여 전신건강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일반 성인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셋째, 금연진료는 대략 12주간에 걸쳐 진행되며 이후에도 장기간 관찰을 요하는 과정입니다. 치과 치료의 특성상 최소 20-30분을 요하는 상담 시간 및 반복적인 치료 과정과 치료 이후의 주기적인 점검(최소 6개월에서 1년 정도)이 필요하므로, 치과진료를 통하여 형성된 환자와의 친밀한 관계는 금연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최적의 조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연진료를 원하신다면 가까운 치과(특히, 구강내과)에 내원하시어 본인의 의지와 더불어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단체명: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  대표자: 정진우
주소: (03080)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
대표전화: (02) 2072-3811  |  팩스: (02) 740-9135   
|  E-mail: ankara01@snu.ac.kr  
Copyright © 2015 by KAOM. All rights reserved.